ICAO의 레자 자파르자데 대외협력국장은 IRNA통신에 이렇게 말하면서 "이들 항공기 회사와 계약서에 서명한 것은 아니지만 합의 당사자들이 구매가 성사될 수 있도록 각자 해야 할 일을 충실하게 하고 있다"고 설명했다.
이어 "주관 부서인 도로·도시개발부와 외무부가 이 항공기 구매 합의의 후속 작업을 진행 중"이라고 덧붙였다.
이란항공은 핵합의안(JCPOA·포괄적공동행동계획) 이행으로 제재가 해제되자마자 프랑스 에어버스와 일정 기간 임대한 뒤 소유하는 방식으로 민항기 118대를 사기로 합의했다.
이어 미국 보잉과도 지난달 100여대를 사들이는 초안에 합의했다.
그렇지만 미 하원은 이 합의 직후 보잉이 이란에 항공기를 판매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가결했다.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이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하겠다는 입장이다.
2013년 11월 이란 핵 협상이 잠정 타결되면서 대형 항공 참사를 막고자 민항기의 일부 부품을 이란이 수입할 수 있도록 허용된 데 이어 올해 1월 제재 해제로 항공기 수입 제한이 풀렸다.
그러나 미국 회사인 보잉사의 경우 여전히 우선제재(primary sanction) 유효한 탓에 미 재무부의 허가를 받아야 이란으로 수출할 수 있다.
보잉사는 2월 18일 미국 정부로부터 이란 항공사에 상업용 여객기를 판매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.
이란은 낡은 민항기를 교체하기 위해 앞으로 10년간 400∼500대를 주문한다는 계획이다.
(테헤란=연합뉴스) 강훈상 특파원
hskang@yna.co.kr
<저작권자(c) 연합뉴스, 무단 전재-재배포 금지>2016/07/26 03:21 송고